6월 25일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이름 모를 군인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고, 우리는 그 날을 기억하고, 그때의 슬픔을 잊어버리지 말자고 곱씹는다. 한국전쟁 당시 크고 작은 전투가 한반도 전역에서 이뤄졌다. 우리는 일일이 다 그것을 기억할 수는 없다.
하지만 크나큰 전투속에서 이 전투 하나만큼은 확실하게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전쟁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해준 포항여중에서의 치열한 전투, 71명의 학도병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포화속으로"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한국 전쟁이 시작된다. 압도적인 화력으로 무장한 북한군은 파죽지세로 남쪽으로 진격을 거듭하고, 남한군의 패색은 짙어져만 간다. 전 세계가 제 3차대전의 공포에 휩싸이자 UN은 엄청난 수의 연합군을 대한민국에 파병할 것을 결정한다. 이미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남측은 연합군의 도착을 기다리며 낙동강 사수에 모든 것을 내걸고 남은 전력을 그곳으로 총집결 시킨다.
포항을 지키던 강석대(김승우)의 부대도 낙동강을 사수하기 위해 집결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하지만 이제 전선의 최전방이 되어버린 포항을 비워둘 수는 없는 상황. 강석대는 어쩔 수 없이 총 한 번 제대로 잡아 본 적 없는 71명의 학도병을 그곳에 남겨두고 떠난다. 유일하게 전투에 따라가 본 적이 있다는 이유로 장범(T.O.P.)이 중대장으로 임명되지만, 소년원에 끌려가는 대신 전쟁터에 자원한 갑조(권상우) 무리는 대놓고 장범을 무시한다. 총알 한 발씩을 쏴보는 것으로 사격 훈련을 마친 71명의 소년들은 피난민도 군인들도 모두 떠난 텅 빈 포항에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 지 모른 채 석대의 부대가 다시 돌아오기만을 기다린다.
영덕시를 초토화 시킨 북한군 진격대장 박무랑(차승원)이 이끄는 인민군 766 유격대는 낙동강으로 향하라는 당의 지시를 무시하고 비밀리에 포항으로 방향을 튼다. 영덕에서 포항을 거쳐 최단 시간 내에 최후의 목적지인 부산을 함락시키겠다는 전략. 박무랑의 부대는 삽시간에 포항에 입성하고, 국군사령부가 있던 포항여중에 남아있던 71명의 소년들은 한밤중 암흑 속을 뚫고 들려오는 소리에 잠을 깬다. 고요함이 감돌던 포항에는 이제 거대한 전운이 덮쳐 오고, 낙동강 전선에 투입된 강석대 대위는 학도병들을 걱정할 틈도 없이 시시각각 모여드는 인민군 부대와 맞서야 하는데…
제작비만 무려 113억원, 정말 리얼한 전쟁씬
한국전쟁을 모티브로 한 영화는 이때까지 많이 만들어졌다. 가장 기억에 남았던 영화로는 "태극기 휘날리며"라 생각되기도 한다. 전쟁 영화에서 걱정이 되는 것 중 하나는 아마도 전쟁 장면을 어떻게 처리를 하고, 영상으로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이다. 때문에 엄청난 제작비가 요구되기도 한다. 제작비가 안되면 대부분 CG 처리를 해야하는데, 그렇게 하게될 경우 영화의 영상은 엉망이 될 것은 뻔하고. 포화속으로 이 영화는 113억원이라는 거대한 제작비를 들여 탄생한 영화다. 그렇기에 전투 장면은 정말 볼 만하다. 탱크가 포를 날리면 지프차가 통째로 날아가고, 기관총은 비오듯 총알을 퍼붓고, 군인들은 쉴 새 없이 앞으로 고꾸라진다. 마찬가지로 건물들은 장난감 쓰러지 듯 차례로 무너지고. 영상도 사실적이지만 전투 장면을 계속 보다보면 실제 내가 전쟁터에 온 듯한 느낌이 들 정도다. 엄청난 굉음이 상영관 사방을 울려대니, 귀가 멍멍할 정도.
주연과 조연의 빛나는 연기
탑의 연기가 어떨지 솔직히 가장 걱정이 되었던 바이다. 탑의 팬들에게는 정말 미안한 얘기지만, 그렇기에 탑의 연기에 대해서는 정말 기대없이 봤다. 기대를 안하고 봐서인걸까? 하지만 탑은 기대 이상의 연기를 펼쳐줬다. 드라마에서 잠깐 연기를 펼쳤던 경험이 있던 탑이지만 영화 속에서 경험은 전무했는데, 나름 영화 속에 묻어나는 연기를 보여줬다. 드라마와 영화는 연기를 함에 있어도 차이점이 있기에 그의 연기가 어떨지 걱정을 했으나, 걱정이 무색하게도 연기를 잘 해냈다. 그의 노력이 영화 속 곳곳에서 보였다. 탑의 연기는 아마도 본인이 스스로 그 캐릭터에 완전히 스며들 수 있도록 노력을 많이 했겠지만, 조연들의 연기가 뒷받침 되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특히, 권상우나 김승우, 차승원의 연기는 이미 브라운관이나 스크린 상에서 인정 받았지만서도 여전히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를 보여줬다. 또한, 학도병 연기를 펼친 조연들은 때로는 웃음을 때로는 눈물을 선사하기도 했다.
전쟁=슬픔=비극.
슬픔과 비극을 보여주다.
같은 사람,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총을 겨누고 싸웠던 한국전쟁. 우리는 Koean war 라고 부르지만, 한쪽에서는 korean civil war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제 곧 6월 25일이 다가오고 있는데, 다시 또 아련한 슬픈 역사의 한 단면을 영화를 통해 다시 들여다보고 있다. 한 때, 전쟁, 그 자체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시각에서 전쟁을 많이 보곤했다. 이 영화는 나름대로 이데올로기적 시각을 탈피하고자 노력을 많이 한 것처럼 보인다. 다만, 약간 억지스러운 설정이 곳곳에 살짝 보여 아쉽기도 했지만.
이데올로기적 시각을 탈피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시각은 무엇일까? 생각을 해본다면 바로 순수한, 아마도 청소년의 눈이 아닐까 싶다. 어른의 시선이라면 "전쟁이니까, 내가 살아야하니까 죽여야지" 이런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학도병의 눈으로, 군인이기전에 학생인, 순박한 청소년의 눈으로 바라보는 전쟁은 더더욱 서글플 수 밖에 없다. 북한군은 닥치는대로 사람을 죽이는 괴물일 것 같지만, 실제 죽을 때 "오마니"를 부르는, 자신과 동일한 사람인 것을. 극중 학도병 장범(탑)이 "아무리 적이지만 그들도 사람이라고 생각하니. 더욱이 같은 언어와 피를 나눈 동족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하고 무겁습니다. 어머니 전쟁은 왜 해야 하나요?"라며 독백하는 부분과 인민군 박무량(차승원)이 남측 학도병들을 가리켜 "저들은 군인이 아니다"라며 마지막까지 싸움을 미루며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장면들 속에서 전쟁의 비극을 슬픔을 느꼈다. 전쟁만 아니었어도 서로 총칼을 겨누지 않았을테니 말이다.
영화를 보는 두 시간내내 슬펐다. 주인공 탑이 죽어서, 권상우가 죽어서 슬픈 것도 아니다. 영화가 슬픈 것도 있지만, 정작 내가 슬펐던 이유는 같은 민족끼리 총을 겨누고 싸웠던, 그 시절을 떠올렸기 때문이다. 비록 내가 전쟁을 겪은 세대는 아니었지만, 비극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게 돼서 너무나도 답답했다. 리얼한 전쟁씬이 펼쳐졌으나, 마음의 슬픔을 걷어내기에는 역부족인 것만 같다.
비록 영화를 통해 전쟁에 대해 새삼 다시 느끼고 생각하게 되었지만... 어린 나이에 총을 들고 나서야 했던 학생들, 그리고 그들의 피로 지켜진 이 땅 위에서, 이름도 남기지 못하고, 묘비하나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아스라이 사라져간 그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마음 탐구생활 > 스크린 세상-영화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놓치면 후회할 최고의 다큐멘터리 영화 - 오션스 (0) | 2010.08.20 |
---|---|
기존의 춘향전을 버려라, 방자의 발칙한 사랑이야기 - 방자전 (0) | 2010.07.14 |
꿈이 없는 자에게 던지는 이준익감독의 메시지-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0) | 2010.05.11 |
자르는 사람과 잘리는 사람들의 슬픈 자화상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 (0) | 2010.03.21 |
잔혹함이 없는 살인영화, 피터잭슨감독의 발상의 전환-러블리 본즈 (0) | 201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