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탐구생활/경상도

울산, 바다가 부른다!-진하해수욕장

꼬양 2009. 7. 14. 02:56

 여름입니다.

물놀이의 계절 여름.

이른 장마가 찾아와서 해수욕장은 눈물짓고 있지만 그래도 해수욕장을 찾게 되는,

여름은 여름입니다.

 

 

 모래사장을 뛰어가는 어린이.

이 어린이 자꾸 제 카메라 렌즈에 잡히게 됩니다.

옷때문인지 뭔지 암튼...

 

 

진하해수욕장은 동해의 검푸른 파도를 피해 북향으로 살짝 비켜 앉은 지형덕에

큰 파도도 엉거주춤 긴장을 풀고 쉬어가는 곳입니다.

 

7월 3일 진하해수욕장이 개장을 했는데요, 오는 8월23일까지 52일간 운영됩니다.

지난해에도 같은 시기에 개장 및 운영됐지요.

 

 
백사장 길이 2㎞, 폭 48m, 면적 9만6천여㎡로 하루 최대 인파 수용능력은 5만명인 진하해수욕장.

날씨가 좀 흐렸지만. 물놀이를 원하는 사람들의 마음까진 흐리게 하진 못했습니다.

 

튜브타고 놀면 더 재밌겠죠?

 

 모래가 곱고 흰데다 물빛까지 파랗게 맑구요,

동해바다 특유의 해수욕장이라 시원스런 파도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근데...

제 귀엔 똑같은 파도소리였어요-_-;

 제주도 파도나 여기 파도나~ 쌤쌤!

 

 모래사장엔 사람들이 바글바글.

 

 그리고 엄마랑 모래장난 하는 우리 어린이.!

집중도가 무지 뛰어나요~

 

 온 힘을 다해 모래 모으기!!

어린아이의 모래장난 하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시간이 절로 가더군요.

 

 다시 시선을 옮겨 바다로...

그리고 백사장 뒷편에는 소나무숲이 우거져 있습니다.

 해수욕하다가 좀 지치시다면 소나숲이야말로 잠시 숨 돌리기엔 더 없이 좋은 휴식처가 되겠죠.

그리고 2개의 해중암으로 이루어진 이덕도와 소나무숲이 우거진 명선도 등 아름다운 섬과 송림,

수심이 얕은 해수욕장이기에 가족나들이에 적격지라고 볼 수 있겠죠.

 파도는 밀려오고, 모래사장엔 사람들의 발자국이 남아있구요...

저도 언젠간 물놀이를 떠나야 할텐데...

 

언젠간 가게 되겠죠^^ㅎㅎㅎ

 

 다시 시선을 돌려서...

참, 울산지방경찰청은 개장 기간동안 여름파출소를 설치해 피서객 질서 유지와 안전 관리에 나서고 있습니다.
여름파출소 모습 보이시죠?

해상구조대와 같은 건물을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눈에 띄는 여기.

모래사장의 삼디다스들.

색깔별로 다 모였습니다.

아차! 노란색이 없군요.

저는 주로 노란색을 신었었는데-_-;

 

 암튼~ 파라솔과 튜브로 진하해수욕장의 모래사장은 바글바글.

응? 저 미피 텐트는 기우뚱. 대체 누구의 소행?

 

 해상구조대 분들도 여유롭게 오후를 즐기시는 듯~

너무 여유롭게 보시진 마세요~

 

 제 포스팅의 맨처음을 장식했던 어린이!

역시나 뒷태로 제 사진에 나오게 되네요.

이 어린이 앞모습을 보지 못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있는 사진 족족 다 뒷모습입니다.(이러니 스토커 같잖아-_-;)

그리고 얼마나 물놀이 오고 싶었으면 깁스를 한채로 왔을까요?

오른쪽에 있는 어린이의 모습에 놀랐습니다.

 

 진하 해수욕장은 전국에서 수질이 제일 좋다는 평판을 듣고 있습니다.

수질조사는 해수욕장의 양쪽 가장자리 각 1개 지점과 중앙 1개 지점에서 이뤄지는데요.
해수욕장 수질기준은 조사항목별 총점이 4~8점 적합, 9~12점 관리요망, 13~16점 부적합으로 판정되는데,

진하해수욕장은 6점을 받았습니다.

이 정도면 양호한거죠^^

 

일단 진하해수욕장은 울산에서 20분, 부산에서 40분대면 닿을 수 있어 교통이 편리한 장점도 갖고 있기에

해수욕장과 간절곶등대 주변은 낚시터로도 각광 받고 있어 사철 주말 나들
이객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참참!!

진하해수욕장에서는 모터보트를 탈 수 없습니다.

타면 벌금 100만원이니 주의하세용~~

 

물놀이를 하면 더 좋았을 곳인데

그러지 못해 참 아쉬웠던,

다음에는 물놀이를 해야겠다고 다짐을 했던.

그런 진하해수욕장이었습니다.

 

 

 


 

가는방법

공항
[412, 1402]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715, 405]번으로 갈아타고 [진하]에서 하차

울산역
[401, 1114, 1104, 1402]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715, 405]번으로 갈아타고 [진하]에서 하차

시외_고속버스터미널
[715]번을 타고 [진하]에서 하차.

 

위치 : 689-883) 울산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